자본

리스크가 클때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 이유

서또치 2023. 7. 17. 19:44
728x90

사실 리스크가 크다고 알려진 것 자체가 리스크를 줄여놓은
상태라는 걸 알아차리는 사람이 별로 없다.

흔히 주식시장에서는 돈을 버는 활황기에는 리스크가 없는 것처럼
보이고 주가 폭락기에는 리스크가 큰 폭으로 증가한  것으로 생각한다.

폭랑장에서 얼마나 깊고 오래 손해가 발생할지 모르니 그 리스크가 너무
커 보여 아무도 주식을 사지 않아 급락한 것이다.

사실 그 시기가 리스크가 가장 줄어 있는 때다.

상승장처럼 아무도 리스크를 겁내지 않을 때가 리스크가 가장 
큰 경우도 있다.

오히려 리스크가 사라진 것처럼 보이는 상승장이 가장 리스크가
크다. 거품이 생기는 유일한 지점이기 때문이다.

따라서 리스크를 정확히 꿰뚫어볼 수 있는 눈을 가져야 한다.

워렌 버핏의 유명한 말이 있다.
남들이 욕심을 낼 때 두려워하고 남들이 두려워할 때 욕심을
내야 한다.  

<돈의 속성> 중에서 


 

코로라 2019년 12월 발생하고 사람들이 죽어나가면서 주식시장을 한번 강타한다.

아래 사진처럼 코스피지수가 폭락한다. 

 

이때 주식이 싸다고 매입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

주식가 더 떨어질꺼야 하고 던지는 사람이 있다. 

이런 기회가 분명 다시 온다. 그때까지 지금은 현금을 저축해야 할 때이지 사야할 때는 아니다.

 

 

728x90